기술서적 번역 역자 지원 후기
업데이트:
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, 현재 저는 캐나다에 거주중입니다. 밴쿠버에서 나름 영어를 매일매일 사용해야 하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보니, 이유는 모르겠지만 무언가 영어를 번역해서 한국어로 컨텐츠를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이 갑자기 생겼습니다. 저는 원래 그런 자신감이 생기면 가만히는 잘 있지는 못하는 성격이라서요. 여지것 블로그를 벌려놓고 이렇게 글을 쓰는 것도 그러한 일들 중 하나입니다. 최근 가족에서도 큰 변화가 생기기도 하였고, 현재 직장에서의 연봉 협상이 생각보다 만족스럽지 않았기 때문에, 자연스럽게 부업에 눈을 돌리게 되었습니다. 회사가 생각보다 부업의 범위를 좁게 설정하고 있습니다. 간단하게 여기서 제약사항을 살펴보면
- 회사의 자산을 사용하여 업무를 진행하여서는 안됩니다. : 이 경우에는 회사가 자산 (노트북 등)을 사용하여 생성한 저작물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.
- 회사에서의 업무와 부업의 업무 범위가 겹쳐서는 안됩니다. : 예를 들어 클라우드 분야에서 일을 하고 있다면, 클라우드 관련된 일을 하면 이익이 충돌할 우려가 있습니다. AWS에서 업무를 한다면, MS의 업무를 수주해서는 안되겠죠?
- 업무 시간에 해서는 안됩니다. : 당연한 내용입니다. 업무 시간은 회사와 근로자간의 계약사항입니다. 1 항과 같이 사업주가 근로자를 해당 시간만큼은 ‘구매’하였기 때문에 이 시간을 활용해서 부업을 했고, 그 부업이 경제적 이윤을 창출 했다면 이 역시 회사가 그 권리를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.
네 뭐, 어찌되었든, 한 출판사에 역자를 지원하였고, 약 1주일간 샘플 번역 프로세스를 진행하였습니다. 처음 번역을 진행하였기 떄문에, 뭐 붙을 생각을 하고 진행한 건 아니었습니다만, 실제로 결과를 그렇게 받으니 마음은 생각보다 기쁘지 않은 건 당연하더구요. 하지만 이러한 실패의 경험을 발판 삼아서 다음 기회에 자연스러운 번역을 할 수 있는 역자가 될거라고 생각합니다. 여기에 몇가지 피드백을 받은 내용중 모두에게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.
-
기본적으로 번역을 하는 번역체는 다른 웹사이트에 많이 나와 있습니다. 예를 들어 나무 위키도 번역체 문장에 대하여 설명을 잘 하고 있습니다. 이런 위키 내용을 읽어보고 기본적으로 번역을 어떻게 진행하면 좋을지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얻을 수 있습니다. 저는 이런 것을 하나도 모르고 시작했기 때문에, 정말 말 그대로 제 어투가 다 들어났고 발번역이 되어버렸습니다.
-
주어를 과감하게 생략할 필요도 있다. 영어 문장은 무조건 주어가 필요하지만, (뭐 물론 한국어도 그렇습니다.) 그런데 상황에 따라서는 이를 생략하면 번역이 조금 더 자유로워 지고 자연스럽게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.
-
전문 용어 선정 기준 - 이 부분이 제가 번역을 진행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이었습니다. 아무래도 영어권에 있으면 단어 그 자체로 의미가 설명이 되는데, 한국어로 한번 더 번역을 해야하는 경우가 생깁니다. 이 경우에는 정말 난감하더군요. 출판사에서는 백과사전이나 한국어 어문 규범에 따른 음차 표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. 저도 생각해보니 이런 부분을 책 표지에서 많이 봤던 내용인 것 같았는데, 번역을 진행할 때에는 잊어버리고 그냥 해버렸더군요.
사실 지금 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도 다른 것과 병행하면서 하고 있다보니, 내용이 산으로 갈 때도 있었습니다.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번역을 진행하고나서, 시간이 지난 뒤에 다시 탈고를 하면서 번역을 진행할 때에는 바로 알아차리기 어려웠던 문장들을 보고 다시 고칠 기회가 생깁니다. 언제나 잊지 말아야 할 점은 책을 번역하는 작업은 내가 돈을 버는 일임과 동시에 역자들에게 이 책을 통해서 새로운 지식을 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한 문장도 허투루 번역하기 어려운 결정적인 이유인 셈입니다.
댓글남기기